건강정보는 아이콜리

“먹는 걸 어떻게 참지?”

다이어트를 해본 사람이라면,

혹은 단순히 건강을 지키고자 마음먹은 누구라도 이 질문 앞에 서본 적이 있을 겁니다.

단순히 배가 고픈 게 아닌데도, 손은 자꾸 냉장고로 향합니다.

이때 우리가 마주하는 것은 ‘배고픔’이 아니라 ‘식욕’입니다.

식욕은 어디에서 올까요?


식욕은 단순히 배가 고프다는 느낌이 아닙니다.

뇌의 시상하부가 배고픔과 포만감을 조절하고,

여러 호르몬과 신경전달물질이 얽혀 나타나는 복잡한 신호입니다.


그렐린(Ghrelin): 위가 비면 분비되어 “배고프다”는 신호를 보냅니다. 그런데 수면 부족이나 스트레스가 쌓이면 그렐린이 과도하게 늘어나 과도한 식욕을 불러옵니다.


렙틴(Leptin): 지방세포에서 분비되어 “그만 먹어도 된다”는 신호를 보냅니다. 하지만 체지방이 많아도 렙틴 저항성이 생기면, 뇌가 이 신호를 인식하지 못합니다. 그래서 충분히 먹어도 계속 배고픔을 느끼고 과식하게 됩니다.


펩타이드 YY: 음식이 소장에 도착했을 때 분비되어 포만감을 줍니다. 하지만 이 신호가 늦게 오기 때문에 너무 빨리 먹으면 과식을 막기 어렵습니다.


인슐린: 혈당을 조절하는 호르몬입니다. 잦은 과식으로 인슐린이 과도하게 분비되면, 지방 분해가 억제되고 렙틴 신호까지 방해합니다. 결과적으로 “먹어도 포만하지 않은” 왜곡된 식욕이 생깁니다.


코르티솔: 스트레스 호르몬으로, 장기적으로 높아지면 식욕을 촉진하고 복부 지방 축적을 유도합니다.


이처럼 호르몬 시스템이 균형을 잃을 때,

식욕은 더 이상 순수한 배고픔이 아니라 왜곡된 충동으로 변합니다.



도파민, 음식이 주는 강력한 보상


여기에 도파민(Dopamine)이 결정적인 역할을 합니다.

우리가 단 음식을 먹으면 도파민이 뇌의 보상 회로를 자극해 강한 쾌락과 안도감을 줍니다.

문제는 이 보상감이 너무 강하고 즉각적이라는 겁니다.


배고플 때 달콤한 디저트 한 조각은 단순한 음식이 아니라 ‘보상 신호’가 됩니다.

그래서 뇌는 더 자주, 더 많이 그것을 원하게 되고, 심지어 연구자들은 이 현상을 마약 중독과 유사한 메커니즘으로 설명하기도 합니다.


즉, 식욕은 단순한 본능이 아니라, 호르몬 불균형과 뇌의 보상 회로가 만들어내는 강력한 중독성 신호이기도 합니다.



배고픔 vs 식욕


이제 구분이 필요합니다.


배고픔(Hunger): 에너지가 부족할 때 나타나는 순수한 생리적 신호.

식욕(Appetite): 배고픔과는 별개로, 감정·환경·습관·호르몬에 의해 생기는 ‘먹고 싶음’.


심심해서 냉장고 문을 여는 건 배고픔이 아니라 습관입니다.

짜증날 때 단 음식을 찾는 건 배고픔이 아니라 감정을 달래려는 행동입니다.


이 차이를 인식하는 순간,

우리는 비로소 ‘내가 지금 필요한 건 음식인가, 아니면 위로인가?’라는 질문을 던질 수 있습니다.

식욕을 이해하는 것은 곧 자기 이해


앞선 글(회복 편)에서 우리는 식욕을 다스리기 위해

충분한 수면,

천천히 먹는 습관,

만족감 있는 음식 선택,

운동과 스트레스 관리

등의 방법을 이야기했습니다.


그러나 이 모든 실천의 바탕에는 하나의 전제가 있습니다.


식욕을 억누르는 것이 아니라, 이해하는 것.

식욕은 나를 배신하는 적이 아니라, 나를 더 잘 알게 하는 신호입니다.


특정 음식만 강하게 당긴다면

배가 부른데도 계속 먹고 싶다면,

자꾸 과식 후 죄책감을 느낀다면,


그것은 호르몬 불균형의 신호이자 어떤 욕구가 눌렸다는 뜻일 수도 있습니다.


식욕을 이해한다는 것은, 단순히 먹는 욕구를 조절하는 게 아니라 몸과 마음의 상태를 통합적으로 읽는 과정입니다.


음식에 대한 집착을 벗어나고 싶다면, 억누르지 말고 관찰해보세요.

식욕은 단순한 ‘먹고 싶음’이 아니라, 몸과 마음이 보내는 총체적 신호입니다.


‘나는 지금 배가 고픈가, 아니면 마음이 고픈가?’


이 질문 하나만으로도, 식욕은 두려움의 대상에서 나를 이해하는 거울로 바뀔 수 있습니다.




(아이콜리 서포터즈로 활동 중입니다.)



소개글 보러가기: https://i-ccoli.ai/post/jadefit/2857


댓글 0
답글 등록